레이블이 재테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재테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연회비 없는데 혜택은 좋은 롯데 국민행복 신용카드

국가에서 연회비를 지원해주는 사회복지 바우처 카드가 있다. 아이행복카드와 국민행복카드가 그것인데, 임신-출산 비용 및 보육료-유아학비 지원 (국민행복카드) 또는 보육료-유아학비 지원 (아이행복카드) 목적으로 발행받는 카드들이다. 그런데 이 카드들은 딱히 그런 목적이 아니라 그냥 신용카드 발급 목적으로 신청해도 잘 나온다. 그리고 웬만한 연회비 내는 신용카드에 준하는 혜택을 사용량에 따라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롯데 국민행복카드의 경우는 통합할인한도가 꽤 후하다. 전월실적 30만원 이상부터 적용되며 5%라는데, 말하자면 전월실적이 30만원이면 통합할인한도는 1만5천원이다. 50만원이면 2만5천원, 100만원이면 5만원.

G마켓, 인터파크, 옥션 등에서도 건당 5천원 한도로 월 2회 5% 할인을 받을 수 있고, 병원 및 약국에서도 월 5천원 한도 내에서 5% 할인, 그리고 대중교통 이용시에는 통합 할인 한도 내에서 익월에 10% 할인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보육료나 유아학비는 월 5천원 한도에 10%, 그리고 학원비나 학습지는 월 1회 한정 1만원 한도에서 10% 할인을 받을 수 있다. 그밖에 롯데카드 특화서비스로 롯데백화점 월 2회 5% 할인 및 문화센터 2강좌까지 10% 할인, 그리고 전월실적 20만원 이상이면 미스터피자 월 3회 및 연 12회까지 15% 할인 등등 혜택이 제법 쏠쏠하다.

굳이 당장 자식 계획이 없더라도 이 카드는 하나씩 장만해 두면 좋을듯 하다. 연회비도 없으니 보유하는 데 부담도 없고.

알뜰폰+제휴카드로 통신비 1년에 48만원 절약하기

스마트폰을 대부분 사용하는 요즘 시대에 통신요금은 무시 못할 비중을 차지한다. 주요 통신사에서 아무 생각 없이 사용하기 좋은 월 6만원 정도의 요금제를 쓰다 보면 매년 70만원 이상을 통신사에 갖다 바치는 셈이 된다. 신상 휴대폰 할부금이라도 걸려 있으면 들어가게 되는 돈은 껑충 뛰어오른다.

반면, 통신사를 알뜰폰을 사용하면 통신비를 상당히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심지어 무제한 요금제도 5만원 미만에서 찾을 수 있고, 자주 뜨는 프로모션을 활용할 경우 요금이 주요 통신사의 거의 반값 이하로 떨어진다. 다음 그림의 예는 kt 자회사로 알뜰폰 통신사인 'kt M 모바일'의 요금제 중 일부를 갈무리 해온 것이다.



내 경우를 예로 들자면, 한 달 모바일 인터넷 사용량이 10GB에 조금 못 미치고 통화 및 문자 사용량은 매우 적다. 이럴 경우 여기 예로 든 kt m모바일의 경우 '실용 유심 10GB'라는 요금제가 적절하다고 판단했다. 거의 일년내내 있는 프로모션을 통해 가입해서 월 기본료가 17,600원이다.

그리고 가입 당시 적당한 신용카드를 찾는 중이었는데, 마침 제휴카드 이벤트가 있어서 새로 가입하게 되었다. 롯데카드의 I'm Wonderful 카드를 kt M모바일 웹사이트의 링크를 통해서 가입하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클릭).



사실 이 카드 프로모션은 날이면 날마다 있는건 아니고, 끝나고 한 달 쯤 공백이 있다가 다시 열리기를 반복하는 듯 하다. 개인적으로 kt M모바일의 카드 프로모션 중에서는 이게 제일 혜택이 좋다고 생각하는게, 기본적으로 모든 결제에 건당 0.7% 할인 (10만원 이상 결제시에는 건당 1.4% 할인) 혜택이 있으면서 동시에 통신료 할인 혜택도 기간 한정이 아니라 계속된다. (많은 경우 제휴카드 할인은 12개월 또는 2년 등 기간이 한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하다)

전월 실적에 따라서는 월 600원으로 데이터 10GB 요금제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내 경우에는 카드 사용량 자체가 많지 않기 때문에 월 12,000원 캐시백으로 만족하는 편이다. 그래도 월 5,600원 요금제가 되니깐.

대충 비교해 보더라도 모회사인 kt 요금제 중 가장 유사한 요금제가 '순선택 100분 10GB (통화 100분/문자 100건)' 월 45,650원짜리이고 (547,800원/년),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요금제가 69,000원짜리 데이터 100GB 사용 후 속도제한 무제한 (통화+문자 무제한) 요금제다 (828,000원/년).

알뜰폰 요금과 비교하면, 통화품질은 별 차이가 없는 가운데 가격 차이는 엄청나다. 데이터 10GB (추가로 매일 2GB씩 제공) 이후 속도제한(3Mbps) 걸리는 요금제가 월 49,280원이지만 현재 프로모션으로 월 33,880원(406,560원/년)으로 평생할인이다. 제휴카드 가입해서 월 30만원 정도 사용하면 매월 12,000원 캐시백을 받게 되므로 월 21,880원(262,560원/년) 요금으로 무제한 요금제를 사용하게 된다.

내가 쓰는 10GB 요금제의 경우 월 27,500원이지만 프로모션 가입으로 월 17,600원(211,200원/년)씩만 내고 사용중이며, 매월 제휴카드를 30만원 정도 사용하면서 한 달에 12,000원 캐시백을 받고 있기에, 사실상 월 5600원(67,200원/년)짜리 요금제가 된다. 카드 사용량이 많아 전월 실적이 70만원일 경우에는? 계산해보라. 한 달에 600원짜리 데이터 10GB 요금제가 된다(7200원/년).

말하자면, 알뜰폰 요금제와 제휴카드를 잘 이용하면 메이저 통신사(SKT/KT/LGU+)보다 월등히 낮은 가격에 비슷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내 경우 같은 조건의 요금제를 기준으로 하면 1년에 약 48만원 정도 절약하고 있다.

의외의 구석에 숨어있는 대중교통 15% 할인 체크카드 - 하나 비바 e 플래티늄 체크카드

얼마 전 서울로 직장을 옮기면서 하나은행에서 급여통장을 만들게 되었다. 관련하여 쓸만한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를 찾아 보았는데, 다들 뭔가 혜택이 많은 듯 하면서도 받기 까다롭게 되어 있었다. 포인트나 캐시백을 일정 비율로 준다기보다는 전월실적 10~20만원에 5천 또는 1만 하나머니 등 일정액을 지급하는 방식이라, 카드 사용 금액이 애매할 경우에는 혜택이 얼마 되지 않게 되거나, 상위의 보너스를 노려서 필요 없는 소비를 하게 될 우려가 있었다. 이에 VIVA e Platinum (비바 e 플래티늄) 체크카드를 소개하고자 한다. 하나카드 페이지의 '해외' 탭 구석에 숨어 있는데, 교통비 캐시백을 15% (전월실적 25만원, 한도 5천원) 제공하고 있다. 체크카드라서 연말정산시 소득공제에서도 신용카드보다 두 배 만큼 공제받을 수 있다.

카드 혜택 최소 요건은 각종 할인 및 공과금 등을 제외하고 전월 1일~말일까지 실적 25만원이 필요하다.


- 후불교통카드를 월 3만원 이상 이용시 월 5천원 한도 내에서 15% 캐쉬백을 지급한다.
- 국내 온라인 쇼핑 결제시에는 월 5천원 한도 내에서 2만원당 200원의 캐쉬백을 지급한다.

체크카드로서는 이정도만으로라도 꽤 괜찮은 혜택이라고 생각한다.

사실 이 체크카드가 가장 크게 내세우는 건 한진 이하넥스의 특정 서비스 (THE 빠른 서비스) 이용시 배송대행료 20% 할인 서비스 제공이지만, 나는 직구족이 아닌지라 얼마나 이용하게 될지는 아직 잘 모르겠다.

개인적으로 한 달에 교통비를 대략 6만원 정도 사용하기에, 이 카드를 쓸 경우 체크카드로서는 꽤 괜찮은 교통비 월 5천원 + 온라인 쇼핑 월 5천원 (월 최대 1만원) 캐시백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메인으로 본인의 소비 패턴에 따라 포인트 적립률 또는 할인율 좋은 신용카드를 사용하고, 소득공제 한도 이상의 소비는 (카드 사용액이 연소득의 25% 이상부터 300만원까지일 때, 신용카드는 15% vs 체크카드는 30% 공제) 이 체크카드를 쓰면서 교통비 할인도 받을 경우 나름 괜찮을 듯 하다.

최근 스팀잇(steemit)에 가입해서 사용해 보고 있다.

요즘 시쳇말로 장안에 화제가 되고 있다는 스팀잇(steemit)이라는 SNS에 최근 가입해서 여기 블로그의 포스팅들을 하나씩 공유해 보고 있다. STEEM이라는 암호화폐를 사용하는 블록체인 기반 SNS인데, 가입자가 글을 포스팅하고 다른 가입자들이 거기에 따봉(upvote) 찍어주면 코인을 받는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래서 잘 보면 특정 파워유저(고래: whale) 중심으로 돌아가기도 하고 이용자들끼리 업보트 품앗이도 하고 또 어떤 이용자들은 독고다이로 컨텐츠로 승부하기도 하고 뭐 다양한 인간군상들을 여기서도 볼 수 있다.

[미국생활] 사용중인 미국 신용카드(5) 연회비 무료, 슈퍼마켓 3% 캐쉬백, 백화점 및 주유소 2% 캐쉬백, 아멕스 블루 캐쉬 에브리데이(AmEx Blue Cash Everyday)

전자제품 구매시 아멕스 워런티 서비스가 좋다고 해서 아멕스 블루 캐쉬 에브리데이(American Express Blue Cash Everyday) 카드를 신청해서 승인받았는데, 이 카드를 마지막으로 당분간은 신용카드 신청은 자제하고자 한다.

5)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아멕스) 블루 캐쉬 에브리데이 (American Express (AmEx) Blue Cash Everyday)

이 카드는 보통의 신청 오퍼 페이지는 3개월간 $1,000 사용하면 $150 캐쉬백을 주지만 리퍼럴 링크를 통해 신청할 경우 같은 스펜딩 조건으로 $200 캐쉬백을 주기 때문에 리퍼럴 링크(클릭)를 이용해서 신청하는 것이 유리하다.

[미국생활] 사용중인 미국 신용카드(4) 분기별 5% 캐쉬백(in UR points), 체이스 프리덤(Chase Freedom)

작년 말에 만들었던 Discover it 카드의 더블 캐쉬백 기간이 다 되어 이제부터는 카드 적립을 항공권 구매에 유리한 UR point로 몰아주고자 술김에 신청했는데, 프리덤 언리미티드 신청한지 일주일만에 하나 더 신청해서 다른 사람 리퍼럴로 할걸 후회도 하면서 과연 받아줄 것인가 긴가민가 했으나 오늘 아침 어카운트에 떠버렸다.(...) 이 카드는 분기별로 특정 카테고리에 한해서 5%의 캐쉬백을 주는 카드인데, 알고보면 그 캐쉬백을 체이스의 UR포인트로 주기 때문에 사파이어 계열의 카드를 함께 사용할 경우 포인트 적립이 제법 쏠쏠하다. 연회비도 없으니 나중에 사용할 일이 없어지더라도 굳이 없애지 말고 계속 갖고 있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요즘 체이스에서는 새로 나온 프리덤 언리미티드(Freedom Unlimited) 카드를 프로모션으로 밀고 있는듯 해서 이 오리지널 프리덤(Freedom) 카드는 상당한 포인트 적립 혜택에도 불구하고 은행 지점에서는 다소 찬밥신세고 타겟 오퍼 프로모션도 요즘은 전혀 보이지 않고 있다.

4) Chase Freedom Card (체이스 프리덤 카드)


[미국생활] 사용중인 미국 신용카드(3) 분기별 5% 캐쉬백 & 첫 12개월 2X 캐쉬백, 디스커버it 카드 (Discover it Card)

현재 사용중인 신용카드 중 거의 최초로 만들었던 카드 중 하나가 Discover Card인데, 분기마다 특정 카테고리에서 5% 캐쉬백을 주고, 카드 만들고 첫 1년 동안은 캐쉬백 금액을 1:1로 매치해 줘서 현재까지 잘 쓰고 있다. 가입은 [여기] 링크로 할 경우 추천 링크 제공자에게 보너스 포인트 혜택이 있다. 그냥 디스커버 홈페이지에서 가입할 경우 가입자 혜택은 똑같으나 다른 누구에게도 보너스는 가지 않는다.

3) Discover it Card (디스커버it 카드)


[미국생활] 사용중인 미국 신용카드(2) 연회비 무료, 1.5% 캐쉬백(in UR points) 체이스 프리덤 언리미티드(Chase Freedom Unlimited)

체이스 UR포인트 적립을 위해 마일모아에서 사리카드와 함께 사용할만한 연회비 없는 카드를 찾아보니 체이스은행의 기본카드라고 할 수 있는 프리덤 언리미티드 카드를 많이 추천하고 있었다.

2) Chase Freedom Unlimited Card (체이스 프리덤 언리미티드 카드)
요번에 체이스 프리덤 언리미티드 카드(일명 '프리덤 언니'카드, Freedom Unlimited Card)를 신청해서 승인받았다. (가입은 [여기] 리퍼럴 링크로 할 경우 링크 제공자에게도 보너스 혜택이 간다. 그냥 체이스 홈페이지에서 가입시에는 가입자에게만 보너스 혜택이 간다.) 이 카드는 가입시 90일 이내에 $500 이상 결제할 경우 $150불 캐쉬백 프로모션이 있고, 가끔씩 타겟 오퍼로 $300 프로모션이 우편이나 이메일로 날라올 때가 있다. (하나 있었는데 넋놓고 있다가 날짜를 놓쳤다. ㅠㅠ)

[미국생활] 사용중인 미국 신용카드(1) 혜택이 많은 체이스 사파이어 리저브(Chase Sapphire Reserve)

미국서는 신용카드가 거의 필수에 가깝고 없을 경우에는 생활이 불편하다. 게다가 카드사끼리의 경쟁이 심하여 몇몇 카드사는 많은 혜택을 주는 매우 공격적인 마케팅을 하고 있다고 한다. 주로 한글 사이트는 마일모아에서 정보를 얻곤 하는데, 올해 초 여기서 인기있었던 카드 중 하나를 보너스 10만 UR포인트 오퍼 끝나기 직전 가입에 성공해서 상당히 많은 액수의 한국행 비행기 티켓값을 절약할 수 있었다.



올해 초 가입해서 열심히 사용중인 체이스은행의 사파이어 리저브 카드(일명 '사리'카드, Sapphire Reserve Card)다. [여기] 리퍼럴 링크를 클릭하면 5만포인트($500-$750 상당) 받고 가입하게 되면서 동시에 링크 제공자에게도 보너스 혜택이 간다. (그냥 체이스 홈페이지에서 찾아서 가입할 경우에는 그냥 가입자만 5만포인트 받고 가입하게된다.)

[잡담] 애드센스 일주일 소감(...)



블로그에 과학 관련 정보글을 쓰기 시작하면서 동기부여도 할겸 재미삼아 애드센스에 가입해서 블로그에 적용해 보았다. (페이지 한 켠에 광고를 보여주고 노출수 또는 클릭수에 따라 광고비를 지급해 주는 곳 중 하나다. 즉 내 블로그가 얼마나 인기있는지 독자가 많은지를 알 수 있다. 근데 내가 내 페이지 광고를 클릭하거나 한 사람이 짧은 시간에 여러번 클릭하면 부정클릭으로 계정 정지먹는다. ㄷㄷㄷ)

[정보] 무료통화 선불폰 플랜 가입하다.

#‎뻘짓‬ ‪#‎무료통화‬ ‪#‎무료데이터‬

(Update: RingPlus는 경영난으로 문닫고 Ting으로 서비스가 넘어갔다. ㄷㄷㄷ)

1. RingPlus: https://ringplus.net/ 개통 - 전체비용 $0, 월정액 무료. (전화 걸 때 광고청취) 

오래된 Sprint 선불폰 (Virgin Mobile 삼성 플립폰)이 있어서 개통해 보았다. 모든것이 깔끔하게 무료.

BYOD 메뉴에서 플립폰의 IMEI를 입력 후 가입절차를 진행한 후, 핸드폰 키패드에서 "#‪#‎RTN‬#"을 입력하면 전화기를 공장초기화 시킬 수 있다. 이 때 "서비스ID"를 입력하라고 하는데, RingPlus 가입할때 이메일로 알려주는 여섯 자리 MSL 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초기화 후 전화기에서 하라는 대로 activation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나면 전화와 문자만 되긴 하지만 한 달에 통화150분/문자50건을 공짜로 얻을 수 있다.

계정에 $5 auto top-up 켜고 돈을 넣어두면 (계정에 잔액이 없을 때 $5씩 자동 충전) 통화500분/문자500건/(쓸수없는ㅠㅠ)500MB를 월정액 없이 무료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 Auto top-up $10 짜리는 통화1000/문자1000/데이터500MB 라고 한다. ($10짜리는 항상 있던 것 같은데 $5짜리는 요번에 새로 생겼네ㄷㄷㄷ)

비상용으로 공짜폰 공짜로 쓴다고 생각하면 될듯. Sprint 네트워크라 잘 안터지는게 흠이긴 하다. (한국으로 치면 헬지.ㄷㄷㄷ)

============
2. FreedomPop: http://www.freedompop.com/home.htm 개통 - 전체비용 $15, 월정액 무료. (무료화 과정이 약간 까다롭긴 하다.ㄷㄷㄷ)

[ChatGPT] AI 챗봇의 한계: 허위 정보를 속을만큼 예쁘게 적어서 내보낸다.

ChatGPT 에게 전문 지식에 대해 물어볼 때 조심해야 할 점: 가짜 정보를 마치 사실인 것처럼 이야기한다는 점이다.   우선, synaptic pruning이라는 신경생물학 이론에 대해 설명하는 아래 글에 나오는 Dr. Beatrice Golgi는...